법정의무교육 해답

[공통]산업안전보건교육 (4) 3H 해답

레티슴 2022. 1. 26. 12:01
반응형
문제 1. 다음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정답 : 4
보기
  1. 시간적 압박과 업무시간
  2. 급속한 승진
  3. 업무요구의 불명확
  4. 근로자시간의 자유로운 조절
해설. 장시간 근무나 교대근무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이다.
문제 2. 다음은 회사적 차원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방법이다. 틀린 것은? 정답 : 4
보기
  1. 회사내 인간관계에 대한 조사와 관리
  2. 개인의 업무의 책임도에 대한 조사와 관리
  3. 노동시간에 대한 조사와 관리
  4. 긴장이완법의 교육과 관리
해설. 긴장이완법은 개인적 차원에서 배워서 활용하면 좋다.
문제 3. 사회성 난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 3
보기
  1. 음악
  2. 생활소리
  3. 프레스 소리
  4. 교통수단
해설. 사회성 난청은 생활소리에 의한 청력 장애로 음악, 생활소리, 교통수단에 의한 소음 등을 말합니다.
문제 4. 다음은 감정노동의 방식에 따른 직업군의 설명이다. 맞는 것은? 정답 : 1
보기
  1. 콜센터 상담원과 같이 고객을 직접 대면하지 않지만 전화 통화와 문의를 통해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군과 마트 백화점의 노동자들처럼 고객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군이 있다.
  2. 간호사들처럼 공적영역에서 사람을 돌보는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군과 시청, 군청에서 근무하거나, 경찰처럼 사적서비스 영역에서 민원처리를 수행하는 군이 있다.
  3. 콜센터 상담원과 같이 고객을 직접 대면을 하면서 전화 통화와 문의를 통해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군과 마트 백화점의 노동자들처럼 고객과의 직접적인 대면이 없으면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군이 있다.
  4. 표면행위를 하는 군과 진심행위를 하는 군이 있다.
해설. 감정노동의 방식에 따른 직업군은 대면과 비대면,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으로 직업군을 나눌 수 있다.
문제 5. 소음에 의한 건강장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 2
보기
  1. 신경이 민감해져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2. 심혈관질환에는 무관하나 고혈압 발생의 원인이 된다.
  3. 소음성 난청의 원인이 되어 청각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4. 대화방해가 된다.
해설. 소음에 의한 건강장해는 소음성 난청의 원인, 작업능률의 저하 및 재해발생의 원인, 스트레스와 정신장애 유발, 수면방해, 대화방해, 청각장애 및 심혈관질환, 고혈압 발생 영향입니다.
문제 6. 다음은 스트레스의 원인들이다. 직무스트레스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 : 4
보기
  1. 생활사건으로 배우자의 사망
  2. 생활사건으로 배우자와의 이혼이나 별거
  3. 일상적 문제로 가족의 건강
  4. 일상적 문제로 회사에서의 승진
해설. 회사에서의 승진은 직무스트레스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문제 7. 다음은 직무스트레스 관리 방법이다. 틀린 것은? 정답 : 1
보기
  1. 직무스트레스는 오직 개인적 차원에서만 관리할 수 있다.
  2.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적 차원과 회사적 차원에서 동시에 관리가 되어야 한다
  3. 회사적 차원에서의 관리에는 상담소 개설 등이 있다.
  4.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에는 긴장이완법 등이 있다.
해설. 직무스트레스의 관리는 개인과 회사 모두가 동시에 관리를 해야 한다.
문제 8. 다음은 감정노동의 특성 중 표면행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정답 : 4
보기
  1. 실제로는 느끼지 않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2. 감정을 꾸며내어 표현하는 것이다.
  3.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다.
  4. 실제로 느끼는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해설. 표면행위는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다르게 표현해야하는 것을 말한다.
문제 9. 다음은 감정노동의 강도결정 요인이다. 틀린 것은? 정답 : 4
보기
  1. 감정표현의 빈도
  2. 감정의 다양성
  3. 감정적 부조화
  4. 표현하는 방법
해설. 감정노동의 강도결정 요인은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의 다양성, 감정적 부조화가 있다
문제 10.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 : 3
보기
  1. 소리의 크기가 클수록 청력저하가 큼
  2. 주파가 더 큰 영향
  3. 나이가 들수록 청력역치 감소
  4. 노출시간이 길수록 청력저하가 큼
해설. 나이가 들수록 청력역치가 증가하며 고주파역의 역치손실이 저주파역보다 더 크게 나타납니다.

 

반응형